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오늘 고3·중3부터 '온라인 개학'…'접속장애' 우려 여전

e학습터·EBS온라인클래스 서버 확충에도 불만 많아
스마트 기기 있어도 잘 못 다루는 학생·가정도 고민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장지훈 기자 | 2020-04-09 05:05 송고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한 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있다./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한 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있다./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 9일 고3과 중3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새학기 개학이 39일 늦어졌다. 고3·중3에 이어 16일에는 중·고 1~2학년과 초등 4~6학년이 온라인 개학을 하고, 마지막으로 초등 1~3학년이 20일 온라인 개학한다.

학교에 등교해서 얼굴 맞대고 수업하는 게 아니다. 온라인으로 만난다. 그러나 온라인 개학은 보충수업이 아니다. 처음 이틀을 '적응기간'으로 잡기는 했지만 개학일부터 올해 1학기 정규수업이 시작된다. 원격수업을 정규수업으로 대체하는 것이 처음인 만큼 시행착오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정부도 동시접속으로 과부하 우려 '미리 로그인' 등 당부

가장 큰 우려는 원격교육 플랫폼의 불안정성 문제다. 교사가 온라인 학급방을 만들어 학습자료와 과제를 공유하고, 학습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LMS) 접속이 여전히 불안하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LMS에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e학습터'와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운영하는 'EBS 온라인 클래스'가 있다. 초등학교는 주로 e학습터. 중·고교는 EBS 온라인 클래스를 활용해 학생들의 학습을 관리한다.
정부는 전국 초·중·고교 학생이 약 550만명인 점을 고려해 e학습터와 EBS 온라인 클래스 모두 동시접속 가능인원을 300만명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의 초등학생은 270만명, 중학생은 129만명, 고등학생은 141만명이다.

여전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이 잘 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의 한 고교 교사는 "직접 찍은 수업을 EBS 온라인 클래스에 올리려고 보니 너무 오래 걸려 힘들었다"라며 "서버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접속 장애를 우려하는 눈치다.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날 발표한 '원격수업 10대 실전수칙'에서 '원활한 사용'에 해당하는 5가지는 결국 동시에 많은 학생이 몰리면서 과부하로 인터넷이 끊기는 상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지침에 따르면, e학습터와 EBS 온라인 클래스는 미리 접속하는 것이 좋다. 일시적으로 접속이 몰리면서 로그인이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학교 여건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교육자료는 낮은 용량(SD급 480p, 720×480)로 제작하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교육 자료는 가급적 수업 전날 오후 5시 이후에 업로드·다운로드 하도록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도 전날 EBS 본사를 현장점검하는 자리에서 "전국의 초·중·고 학생이 550만명인데 동시에 접속한다고 하면 안정적으로 구현될까 걱정이 되는 게 사실"이라며 "실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온라인 개학'을 하루 앞둔 지난 8일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이 태블릿PC를 지급받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종홍 기자
'온라인 개학'을 하루 앞둔 지난 8일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이 태블릿PC를 지급받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종홍 기자

◇실시간 쌍방향은 조회 때만?…콘텐츠 활용 수업 많을 듯

이 때문에 온라인 개학 후 원격수업에서는 흔히 상상하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다는 EBS 강의영상이나 자체 제작한 영상·자료를 보게 한 뒤 토론을 하거나 과제를 내는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 중심이 될 것으로 현장에서는 전망한다.

학내 인프라도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학내 교육망 속도가 빠르지 않아 모든 교사가 쌍방향 수업을 하면 서버 과부하가 일어날 것"이라며 "쌍방향 수업이 중심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회나 종례는 실시간 쌍방향으로 하고 수업에서는 교사나 과목에 따라 두세 가지 원격수업 유형을 섞어서 할 가능성도 있다. 원격수업에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콘텐츠 활용 수업 외에 학습자료를 올리고 독후감이나 에세이 같은 과제를 내주는 '과제 수행 중심 수업'도 있다.

학생 간 격차를 어떻게 해소할지도 여전히 우려되는 점이다. 교육부가 지난달 31일까지 전국 학교 학생들의 스마트 기기 보유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 PC나 노트북, 스마트 패드, 스마트폰 중 1가지도 없는 학생이 22만3000명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과 교육부가 자체 보유한 스마트 기기, 삼성전자·LG전자·통계청 등에서 기증한 기기를 합하면 총 33만2000개여서 이 학생들에게 스마트 기기를 대여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개학 전까지 이 학생들에게 대여를 완료할 예정이다. 중위소득 50% 이하 교육급여 수급 학생 중 스마트폰이 없는 학생을 1순위로 지원하고 2순위로 다자녀, 조손 가정, 한부모 등 학교장이 학생의 교육여건을 고려해 대여한다.

스마트 기기만 있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 도움 없이 혼자서 스마트 기기를 조작해 시스템에 접속하고 원격수업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다. 부모가 모두 직장에 나가야 하는 맞벌이 부부나 저소득층, 조손 가정의 자녀도 사정은 비슷하다.

참교육학부모회는 지난 7일 교육부에 전달한 의견서에서 "스마트 기기가 주어져도 원활하게 다루지 못하는 학생이나 가정이 있을 수 있기에 '온라인 학습도우미' 지원이 절실하다"며 "그래야 학습의 사각지대 문제도 예방할 수 있고 직장 등 여러 사유로 온라인 학습을 적극 지원할 수 없는 가정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고등학생은 모르겠는데 중학생도 IT 사용 능력이 뛰어나지 않은 학생이 많아 접속조차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초등학생은 더할 것"이라며 "학생 개인 컴퓨터나 집안 인터넷 인프라도 달라서 학생들이 보는 영상의 질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jinn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