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마당

성명서/논평

Home > 소식마당 > 성명서/논평

[논평] 수신료 인상을 막고 있는 건 KBS 자신이다 2011.07.01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5-12-15 16:03 조회2,196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논평] 수신료 인상을 막고 있는 건 KBS 자신이다

 

6월 국회에서 수신료 인상안 처리가 사실상 무산되었다. 이번에도 KBS는 수신료 인상안 처리를 관철하기 위해 총력 공세를 펼쳤지만 소용이 없었다. 국민 대다수의 반대의견과 언론시민사회가 요구한 전제조건을 무시한 채 정당성이 없는 인상안을 밀어붙였으니 당연한 결과다. 국민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없는 수신료 인상안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상식이 6월 국회에서 다시 한 번 입증된 셈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런 상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집단이 있다. 바로 KBS다. KBS는 수신료 인상안 날치기 처리가 무산되자 보도를 통해 분풀이를 해댔다. KBS는 9시뉴스에서 “민주당의 합의 파기로 국회가 무력화되면서 30년 만에 수신료 현실화는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며 민주당을 맹비난했다. KBS는 보도 내내 “합의처리는 애초부터 빈말”, “필요에 따라, 상황에 따라, 약속을 깨고 말을 뒤집었다”, “약속을 무너뜨렸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민주당을 향해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민주당이 수신료 인상안 처리에 협조하지 않자 이성을 잃고, 민주당 비난성명 수준의 보도를 국민의 전파를 이용해 내보낸 것이다. 공영방송을 사유물쯤으로 여기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짓이다.

 

 KBS의 이런 행태는 처음이 아니다. KBS는 지난 4월에도 수신료와 관련하여 편파보도를 내보낸 바 있다. 당시 KBS는 민주당이 보이콧한 채 진행된 ‘반쪽 공청회’ 소식을 전하면서 수신료 인상에 찬성하는 한나라당 의원 6명의 발언을 연달아 배치하는 엽기적인 보도를 내보냈다. 이 보도는 결국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자사가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되는 사안에 대해 균형성을 유지하지 못한 내용을 방송했다”는 이유로 ‘주의’ 징계를 받았다. 그러나 KBS는 심의위 제재를 비웃기라도 하듯 이번에도 노골적인 편파보도를 반복했다. 수신료를 위해서는 물불 안 가리겠다는 자세다.

 

수신료 인상안 추진 과정에서 보여준 KBS의 행태는 더욱 가관이다. 국회에서 수신료 인상안이 논의되자 KBS ‘시청자’광장에는 수신료 인상을 촉구하는 KBS 구 노조의 농성천막이 세워졌다. KBS 기자들이 ‘방송의 힘’을 이용해 국회의원들을 겁박하고 다녔음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전재희 문방위원장이 KBS 선임기자에게 “(민주당) 설득을 다 했다면서? 어떻게 설득했길래 상황이 이래요?”라고 질타한 것만 봐도 KBS기자들이 그간 무슨 짓을 하고 돌아다녔는지 알 수 있다. 기자윤리를 상실한 KBS 기자들의 망동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국회 곳곳에 카메라를 배치해 민주당의 일거수일투족을 추적하는가 하면, 취재를 가장해 의원들을 압박하기도 했다. 일부 기자들은 민주당 당직자와 멱살을 잡고 몸싸움을 벌이는 추태까지 부렸다. 수신료 인상안 처리가 어려워지자 “다음 총선 때 보자”는 막말도 서슴지 않았다. 도대체 공영방송 기자인지, 로비스트인지, 조폭인지 분간이 안 될 지경이다.

 

급기야 KBS는 민주당 ‘불법도청’의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고 있다. 공영방송 KBS가 공당의 회의내용을 불법으로 도청하고 그 녹취록을 상대 당에게 전달하는 파렴치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믿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민주당은 물론 여권 관계자의 입에서도 “수신료 인상안의 이해당사자인 KBS가 작성한 문건이 한 의원 측에 유출된 것으로 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의혹의 시선은 점점 더 KBS를 향하고 있다. 많은 언론들도 도청의 당사자로 KBS를 지목하고 있다. 만약 이같은 의혹이 진실로 밝혀질 경우 KBS는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받게 될 것이다. 수신료 인상은커녕 그동안 쌓아왔던 공영방송의 위상마저 한 번에 무너져 내릴 처지에 놓였다.

 

그런데도 KBS는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KBS는 이런 막가파식 취재와 편파보도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도청의혹에 대해서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수신료 인상에 눈이 멀어 KBS를 향한 국민들의 분노가 보이지 않는 모양이다. 국민들은 이번 6월 국회에서 KBS가 수신료 인상을 위해 어떤 일을 벌였는지 낱낱이 지켜보았다. KBS가 어떤 보도를 내보냈는지, 기자들은 무슨 일을 하고 다녔는지, 사장이 어떤 거짓말을 했는지 전부 지켜보았다. 그런 꼴을 보고도 수신료를 올려줄 국민은 없다. 지금 KBS 수신료 인상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시민단체’도, ‘언론노조’도, ‘민주당’도 아닌 바로 ‘KBS 자신’이다. 조금만 냉정을 되찾고 이성으로 판단하면 진실이 보인다. KBS는 지금 수신료를 걱정할 때가 아니다.

 

2011년 6월 30일

 

언론개혁시민연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