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교육플러스] 교원양성체제 개편_학부모 눈엔 탁상공론..."왜 달라져야 하는지 잊지 말라"(21. 9…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21-09-22 14:38 조회1,196회 댓글0건본문
기사 원문링크 http://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0
9월 15일 교육부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공청회가 열렸다. 지난해 국가교육회의가 국민 의견 수렴과 32명의 전문가 숙의를 거쳐 협의문을 제안했고, 올해 교육부가 24명의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협의문을 기반으로 발전방안을 발표한 것이다.
2020년 숙의단은 교원의 역할에 대해 “지식 교육자를 넘어서서 학습 촉진자, 기획자, 소통·협력자, 평생학습자로 확대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이해와 공감, 소통, 지역과의 연계, 협업 등의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정리했다.
하지만 올해 발표한 발전방안에서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목표인 ‘교원의 상(像)’ 정립을 내년에 출범할 국가교육위원회로 넘겼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 목표가 부재한 상태에서 어떻게 갈지만 논의한 셈이다.
미래 교육 체제에 발맞춘 교원양성기관 조직 개편
3회의 혁신위원회와 4회 온라인 대국민 토론회 내내 교원양성기관은 교·사대 통합, 교대 간 통합에 관심이 높았다. 예비 교원 역시 마찬가지였는데 각자 입장을 고수하며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학부모 토론자들은 첫째, 시대적 흐름이 교·사대뿐만 아니라 전체 대학교가 통폐합되거나 정원 감축 추세이며 둘째, 학교 현장이 이미 저출생으로 인해 소규모 학교, 초중 통합학교가 증가하고 있어 교원양성기관의 조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었다.
초중 통합학교가 많은 지역의 교육청에서는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의 교차지도가 가능하게 법령을 개정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학생보다 교원이 더 많은 학교도 있고, 학생 수가 적어 통합을 했어도 교사 자격증이 구분되어 있어 교육과정은 통합적으로 운영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양성기관이나 예비 교원의 입장보다 교육 현장의 고충과 학생들의 균등한 교육권 보장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
현장 적합성과 상담 역량 함양 위한 교육실습 확대
4학기째 접어든 원격수업은 많은 것을 변화시켰는데 그중 가장 큰 변화가 교원의 역할일 것이다. 지식 전달자로서의 역할은 인강과 학원 강사들이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진행되고 있었지만 지난 2년 동안 변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공고해졌다.
학생과 학부모가 바라는 교원은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통하고 공감하며 성장을 도와주는 촉진자다. 학생을 이해하고 학부모와 소통하며 학급을 운영하는 역량은 대학에서 교과 수업이나 이론만 배워서는 절대 길러질 수 없다. 양성기관의 제안처럼 교사 출신의 교수를 늘린다고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현행 1개월인 교육실습 기간을 한 학기로 두는 실습학기제처럼 현장 체험 시간을 늘리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양성기관은 타 과목 이수 학생의 수강 일정 조율이 어렵다는 이유로, 예비 교원은 임용고시 준비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달가워하지 않는다.
현행 체제로 양성된 교원이 초임 기간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지, 책으로만 배운 교원들이 학교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 양성기관 및 현직 교원들의 냉정한 비판과 반성이 필요하다.
학교마저도 미발령 교원보다 경험이 많은 기간제 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현장 적합성 역량에 있을 것이다.
실습학기제를 넘어 최소 1년은 다양한 학생들과 부대끼며 교수법과 생활지도, 상담 역량을 기르는 과정이 필요하다. 양성체제 내에서만 고민할 게 아니라 인턴제든, 1차 필기시험 후 2차 현장실습 전형이든 임용제도의 혁신으로까지 확대해 학교 현장에 적합한 교원이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교원의 인성 검증도 검사 도구가 아닌 현장에서 충분한 기간을 두고 다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원양성 체제
2023년 고교학점제 시행을 포함한 2022 교육과정 개정방안이 한창 논의 중이다. 국민들이 참여하는 총론에서는 학생 주도성 확대와 학생의 선택을 다양하게 보장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춰 개정될 것으로 보인다.
필수과목을 줄이는 대신 학생의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고 지역 특색을 살리는 지역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그러니 달라진 교육과정에 맞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원이 양성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에 다교과, 융합전공 등이 거론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교과 중심의 표현인 다교과, 융합전공보다 융복합 능력, 교과 간 융합 수업 기획력, 통섭 역량 등이 적합한 표현이라는 견해도 있다.
융합 수업을 진행할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름도 생소한 교과를 신설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칸막이, 전공 칸막이를 없애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덧붙여 초등교원의 핵심전공을 신설하고 보장하는 방안은 교과 중심이 아닌 발달 단계에 중점을 두고 과정 중심, 역량 중심 교육을 지향한다는 교육 방향과 배치되는 방안으로 보여 검토가 필요하다.
초·중·고뿐만 아니라 교·사대도 2022 개정 교육과정 방향인 필수 과목 축소, 선택 영역 확대 흐름에 함께 가야 달라진 학교 교육의 기획자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초·중·고 학생과 학교 현장을 중심에 둔 교원양성 방안
학생들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식을 습득하는 채널도 다양해지고 누구보다 빨리 정보를 습득한다.
학교 졸업장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찾아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 수도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홈스쿨링, 대안 학교 외에 IB, 미네르바 스쿨, 거꾸로 캠퍼스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모델이 확산되어 공교육의 대안으로 선택되고 있는 현실이다.
어떤 직업이 생겨나고 사라질지 모르는 시대에 다양한 직업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교단에 서서 학생들을 이끌어 줄 수 있도록 열린 양성·임용 시스템도 필요하다. 고교학점제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과목을 양성기관 커리큘럼에 모두 담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교원양성 체제가 수십 년간 탁상공론만 반복할 뿐 개선되지 않은 이유는 초·중·고 학교와 학생들이 아닌 양성기관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현주소를 직시하고 “왜” 달라져야 하는지를 객관적으로 인정해야 혁신이 가능할 것이다.
현재 개정되는 체제로 양성된 교원이 학교에서 학생들을 만나는 시점엔 이미 과거의 지식과 교과가 되어 과목이 통합되거나 사라질 수도 있다.
교과 이기주의, 교사 중심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학생의 촉진자, 협력자, 길잡이인 교원을 양성하도록 제대로 된 혁신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학생과 함께 고민하고 도와주며 자기 삶의 주체로 성장하도록 손닿는 거리에서 지켜주는 교원의 모습을 그려 본다.
출처 : 교육플러스(eduplus)(http://www.edp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