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자료실

Home > 자료마당 > 자료실

시민운동과 언론의 바람직한 관계 (2005.07.22)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5-12-23 15:12 조회1,486회 댓글0건

본문

- 자료1 : 시민운동과언론(강의요약)050704.hwp (24.0 KB) 받음 : 210

  <참교육학부모회> “시민운동과 언론의 바람직한 관계” 대화의 시간
        2005년 7월 4일(월) 오전 10시 30분 / 참교육학부모회

         “시민운동과 언론의 바람직한 관계”

                          김 기 태(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자문위원)


1. 문제의 제기 : 현재 무엇이 문제인가?
: 오늘날 시민운동과 언론과의 관계에 있어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

① 시민운동은 없고 시민운동과 관련된 언론 보도만 있는 운동의 현실에 대한 비판.
   : 각종 시민운동 활동이나 프로그램들이 언론에 소개되기 위한 목적으로 전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언론보도에 의존하는 경향.

② 언론을 통해 그려지는 시민운동의 모습이 실제와는 다르게 왜곡되는 현상에 대한 비판.
   : 실제보다 부풀려지거나 축소되는 경우 또는 전혀 다른 방향을 보도되는 경우

③ 언론에 따라 시민운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
  : 이른바 진보적 언론과 보수적 언론의 시민운동을 보도하는 태도의 차이
  : 적과 동지(?)

④ 시민운동과 언론과의 바람직한 관계란 무엇인가?
  : 적인가, 동지인가?
  : 협력적 관계인가? 견제적 관계인가?
  : 가까울수록 좋은가, 멀리할수록 좋은가?
  : 현재 참교육학부모회의 언론 관계는 어떠한가?

⑤ 오늘날 언론에 비추어지고 있는 참교육학부모회의 모습은 어떠한가?
  : 무엇이, 누가, 어떤 모습으로 언론을 통해 세상에 그려지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은 정확한가? 바람직한가? 개선점은 없는가?

⑥ 참교육학부모회 언론운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2. 언론에 대한 기본 이해

1)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기능
  : 환경감시의 기능, 사회화의 기능, 사회통합기능, 오락기능

2) 미디어의 힘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미디어가 만드는 세상
  : 미디어의 양면성에 대한 고찰(빛과 그림자, 두 얼굴)
  : 미디어 통제에 대한 이해(자본과 권력)

3) 연이은 뉴미디어의 출현과 그 영향력
  : 인터넷 미디어
  : 디지털이동방송(DMB)의 출현
  : 휴대폰 문화, 댓글 문화, 매니아 출현, 사이버 문화, 사이버 정치

4) 한국 언론의 새로운 지형 변화
  : 신문과 방송의 갈등
  : 기존 언론과 인터넷 언론과의 갈등
  : 기본 언론과 다양한 시민참여 언론과의 갈등(VJ, 시민리포터, 열린채널, 액서스 채널)
  : 진보적 언론과 보수적 언론의 갈등
  : 지방(지역)언론과 전국(중앙)언론과의 갈등
  : 정부와 언론과의 관계 그리고 시민운동과 언론과의 거리 또는 관계


3. 바람직한 시민운동과 언론과의 관계 정립을 향하여

1) 먼저 본래의 기능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 시민운동과 언론은 모두 권력과 자본 등 사회 권력에 대한 견제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 “빛과 소금”, “세상의 목탁”, “파숫꾼”, “견제와 균형추”, “지킴이” 등
  : 따라서 시민운동과 언론과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을 위해서는 양자 모두에게 본래의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되어야 한다.
  : 도덕성, 공정성, 정확성, 시대성, 역사성, 심층성, 품위성 등

2) 문제가 발생하면 언론 보도보다는 운동 자체에 먼저 총체적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시민운동에 대한 이미지는 결국 시민운동 자체의 실체로부터 비롯된다는 의식 필요)  
  : 요령이나 실수로 언론을 단순히 이용하려는 태도는 금물
  : 간혹 이런 틈새를 이용하려는 사이비 언론인들에게 우롱당하지 않아야

3) 시민운동의 대중화를 위해 건강한 언론의 올바른 보도는 필수적이다.
  : 시민운동의 참 모습이 언론을 통해 제대로 그려지도록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 언론관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 방법
  : 언론인을 상대하는 방법
  : 인터뷰 방법
  : 시민운동(또는 교육) 전문 기자와의 건강한 교류
   (네트워크 구성, 목록 작성 등)
  : 홍보전문가의 양성    
  : 실천자들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

4) 언론에 비추어지는 시민운동의 모습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언론 속의 “교육”은?
  : 언론 속의 “참교육학부모회”는?
  : 언론인의 눈에 비친 참교육학부모회의 활동과 사람에 대한 이미지는?
  : 대언론모니터팀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문제점 그리고 대안은?
   (교육문제에 대한 정밀한 관찰, 전문성, 실천전략화, 지속성 등)
  : 프로젝트 중심의 미디어 운동 대책 재고

5) 현단계 다양한 언론의 지형 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언론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 언론의 성격, 수준, 특성 등을 고려한 분석
  : 사이비 언론, 불건전 언론, 왜곡 편파 언론, 당파적 언론, 저질 언론의 구분
  : 매체별 특성 이해
   (텔레비젼, 라디오, 신문, 인터넷 등)
  
6) 적극적인 인터넷 언론 대책이 필요하다.
  : 각종 영향력있는 인터넷 매체에 시민운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대변하는 글이 올라오도록 체계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 이른바 댓글문화에 대한 대응 전략
  : 인터넷을 통한 여론 확산
  : 홈피 관리, 게시판 관리 등    
  
7)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의 구분이 필요하다.
  : 현재의 역량으로 해 낼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 꼭 지켜야 할 원칙을 세운다.
  : 대 언론 관계에 대한 모든 실천가들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8) 기타 논의 사항들
  : 지침서 발간
  : 정례 언론인 초청 간담회(또는 포럼)
  : 정기 프로그램 확보
  : 스스로의 매체 갖기 방안 모색
  : 연대할 매체 찾기
  : 같이 할 언론인 모임
  : 사람을 이용한 홍보 방법 모색
  : 연대한 단체 찾기
  : 연대할 사람(칼럼리스트, 댓글 생산자, 홈피운영자, 카페운영자 등) 찾기
  : TV출연자 양성(인터뷰, 진행, 리포터 등)
  
                               (kkt0007@hanmail.net / 017-268-2898)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