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자료실

Home > 자료마당 > 자료실

학원강사 중심의 EBS 인터넷강의를 크게 우려한다._20040326 (2005.09.13)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5-12-23 15:22 조회79회 댓글0건

본문

학원강사 중심의 EBS 인터넷강의를 크게 우려한다.

안선회

정보화사회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e러닝(e-Learning) 체제 구축을 통해 삶과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누구나 누구에게서나, 언제 어디서나, 서로 배우고 가르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이 가능한 유비쿼터스-러닝(Ubiquitous-Learning)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다. EBS 인터넷강의는 이를 위한 시금석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 정책은 실력 있는 학교교사를 중심으로, 스튜디오와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준과 방식(강의식, 토론식, 실험식)의 수업을 인터넷으로 공급하여 사교육비를 절감하고, 공교육의 모범을 전파하며, 교육기회의 균등한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EBS 인터넷방송은 오히려 부정적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 문제의 시작은 학원강사 중심 운영 방침이다. 수준 구분은 명분만 남고 없어진 채 학원강사 중심으로 홍보와 서비스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많다. 처음엔 EBS출현 강사의 학원출강을 금지한다고 했다가 이제는 언급이 없다. 저작권료를 주고, 심지어 저작권법 저촉 문제까지 EBS가 책임지기로 했다는 계약내용 보도는 국민을 경악하게 한다.

이렇게 진행되면, 객관적인 검증 없이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교사보다 학원강사가 훨씬 우수하며, 그들의 강의 내용이 그대로 시험에 나온다는 착각에 빠질 것이다. 그 결과 사교육 시장에서 그들의 상품가치는 크게 뛰어오를 것이고, 출강하는 대형학원과 인터넷사이트를 중심으로 대입 사교육은 또 한번 요동을 칠 것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주로 학원강사가 교재를 만든다는 것이다. 주로 특정대학 중심의 몇몇 학원강사에 의해 급속하게 만들어진 ‘졸속교재’가 어처구니없게도 ‘수능에 출제되는 EBS교재’라는 ‘신화’가 덧씌워진 채 날개 돋친 듯 팔려 전국의 학교, 학원에서 사용되는 제2의 교과서가 될 것이다. 학교의 교사들에게조차 EBS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획일적인 강의를 요구할 것이고, 그 결과 학교에서의 다양한 창의적인 수업은 크게 제약받게 될 것이다. 학원강사가 교육내용을 결정하고, 국가가 이를 공인하고, 교사들은 이를 따라가거나 관리자로 전락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전개되려 하고 있다.

결국 사교육에 대해서는 환상을, 학교 공교육에 대해서는 불신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공교육 정상화가 궁극적 목적인 사교육대책이 왜곡 집행되면서 오히려 공교육에 타격을 가하게 될 것이다. 사교육 절감보다 더 중요한 정책 목표가 공교육 정상화인데도 잘못된 정책집행으로 인하여 하위목표가 상위목표를 부정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선, 4월은 학교교사 중심으로 출범하되 학원강사의 강의는 여름방학 이후로 출범시기를 늦춰야 한다. ‘빨리빨리’보다 ‘교육적으로 올바르게’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장 교육부와 EBS, 교육학자, 교원·학부모단체, 시민단체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EBS인터넷방송운영위원회(가칭)’을 구성하여 주요 정책 방안을 심의해야 한다. 200억이나 되는 국가예산이 투입되었다면, 이에 대한 사회적 통제, 교육적 고려는 당연한 것이다. 이와 함께 정책추진방향이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학교교사 중심으로 운영하고 학원강사의 비율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둘째, 교사선정위원회를 공식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수준과 방법을 활용하는 교강사를 공정한 절차를 거쳐 과목별로 여러 명씩 추가 선정해야 한다.
셋째, 교재저술 관련 기존계약을 취소하고, 여름방학에 맞춰 학원강사를 배제한 상태에서 교육과정평가원과 학교교사 중심으로 교재편집위원회를 구성하여 정식교재를 출판해야 한다. 그리고 EBS교재가 아니라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제를 낸다고 입장을 수정해야 한다.
넷째, 교사에게는 원고료와 출연료를 지급하고, 저작권은 EBS가 갖되 권리주장을 해선 안 된다. 교재와 동영상이 사익이 아닌 공익추구 수단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원칙을 정한 뒤 원칙을 수용하는 교사와만 계약을 해야 한다.
여섯째, 동영상과 교재는 누구나 제한 없이 무료로 내려받게 한다.
일곱째, 케이블 방송사에도 무료로 동영상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시간대에 양질의 화면을 대형TV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학부모들과 언론은 좀더 기다리고 신중해져야 한다. EBS 역시 커다란 교육적 영향을 고려하여 충실하게 준비 상태를 재점검해야 할 때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