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학부모신문 돋보기

Home > 자료마당 > 학부모신문 돋보기

[21년 11월호/360호]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10면)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21-11-09 13:39 조회1,084회 댓글0건

본문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 

캡처.PNG

 교육부 초·중등교원 양성체제 개편 방안 (공청회 안)

1. 교원양성 교육과정 

 1) 중등교원 양성체제 현황 2021년 교원양성 정원은 2021년 사범계열 9,420명, 교직과정 4,963명, 교육대학원 7,283명이다. 중등교원 양성은 임용 규모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등교사 자격증을 가지 고 임용시험을 통과하더라도 임용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앞으로 중등교원 양성은 사범대학에서 공통 과목 교원을 양성하고 일반대학 교직과정은 사범대 미양성 분야(전문교과, 제2외국어, 신규분야, 비교과)로 한정하기로 하였다. 문제가 심각한 교육대학원은 양성기능을 폐지하고 현직 교원 재교육 기관으로 자리잡도록 하겠다고 한다. 

2) 초등교원 양성체제 현황 초등교원은 임용 규모를 고려하여 양성 규모를 조정하고 있다. 국립교육대학은 열 곳이고 그 외 세 학교(제주대 교육대학/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이화여대 초등교육과)를 포함하고 있다. 2020년 임용경쟁률은 1.7:1이다. 

3) 교원양성 교육과정 교원양성 체제 논의에서 항상 지적 하는 것이 교대와 사범대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과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교원 양성과 학교 현장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학교 수업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고, 온라인 학습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교대와 사범대의 교육과정 또한 변화해야 한다. 학교 현장과 긴밀하게 연관된 내용으로 변화해야 한다. 

 교육부 방안에서는 현장 교사의 대학 강의 참여와 대학교수의 학교 현장 연구, 예비 교원과 현장 교원 공동 수업 연계 과정을 운영하고 초·중등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기본 이수과목을 조정한다고 한다. 또한 기후위기, 가치의 다원화, 포용 사회 등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AI, 빅데이터 등 기술 발전에 따른 소양을 함양하고 관련 교육과정 운영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임용 자격 부적격자는 불합격 처리하고 양성단계에서 교사로 적합한지를 검증하는 체계도 구축한다고 했다. 

2. 교육실습 내실화 및 실습학기제 도입 

 현재는 4학년 때 1개월 동안 교육 실습이 이루어지는데 개편방안에서는 한 학기 동안 교육실습을 할 수 있도록 실습기간을 연장한다고 한다. 교육청과 교원양성기관, 실습생의 역할을 새롭게 정하고 실습생이 학교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교육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해 실습결과를 임용과 연계하겠다고 한다. 2022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교통비와 의복비 등 실비 지원, 실습학교 위탁 교육비 지원)을 거쳐 2028년 하반기에 전면 도입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 현장에 발을 내딛으면 교육실습을 통해 얻은 현장의 경험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토론회 과정에서는 교사 인턴제도가 제안되었다. 그만큼 교육실습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3. 초등교원의 교육과정 다양성·선택권 확대 

 현재 교대에서는 기본 이수과목으로 13과목을 운영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정보·융합 등 미래 요구 역량 등을 반영하여 기본 이수 과목을 조정하기로 하였다. 단,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조정한다. 핵심전공을 중심으로 교과 융복합, 교과전담교사, 영재 교육, 초중통합학교에 대비하여 교육 과정 다양성과 선택권을 확대한다. 

4. 다교과 역량 강화 

 다(多)교과 역량은 복수 교과목에 대한 지도 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중등에서 부전공을 다교과 전공으로 개선하고 초등의 심화과정을 핵심전공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1급 정교사 연수는 개편하여 교육대학원 한 학기 과정으로 확대하고 교육과정은 교육청과 교육대학원이 협업하여 편성한다. 1급 정교사 연수 이후 추가 학기를 이수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하고 생애주기 연수와 학습연구년제 등과 연계할 수 있게 하며 현장과 교직 이론을 연결 적용하는 프로젝트 수행도 가능하게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교원양성체제 개편에 대한 논의가 진행돼 왔다. 20년 전에도 지금과 같은 문제의식이 있었다. 학생 수가 감소할 것이고 교원 양성과 임용의 불일치, 교대와 사범대의 교육 과정이 학교 현장과 동떨어져 있고 교육실습 기간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20년도 넘는 시간 동안 여전히 문제만 제기하고 정책 제안만 되풀이하고 있다. 제안된 것을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겠지만 하나만이라도 적용해 개선했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도 문제 제기만 하고 현장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현 체제를 유지하자는 논의로 귀결될 것이라는 의구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교육부에서 기왕에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개편 안이니만큼 의지를 가지고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길 바란다. 

정리 : 정책위원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