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3월호/364호] 청소년기자가 말하다_다가오는 다가올 교육은?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22-03-07 17:03 조회905회 댓글0건본문
다가오는 다가올 교육은?
유난히 찬바람이 짙었던 여기 영일만의 자락에도 어느새 겨울의 끝자락을 내어준다.
입춘이 지나자 삭풍도 방향을 바뀌었고, 콧속으로 봄의 온기가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렇게 다가오는 3월에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나는 설렘과 두려움이 한꺼번에 몰려 왔다. 그러나 세상은 그런 나의 중심에서 비켜나서 20대 대통령 선거에 정신을 두고 있는 듯하다. 물론 선거 결과에 따라 내게 어떠한 변화를 강요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서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봤다. 그래서 내 삶의 방향을 지도할 주요 후보들의 핵심적인 교육 정책을 살펴보았다.
우선 전체적으로 보면 교육 관련해 후보들의 철학이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교육 정책은 없다고 본다. 가장 만감할 수밖에 없는 ‘입시제도’ 관련해 어떠한 언급도 없이 그냥 ‘공정성강화’라는 이미지 개선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입시제도의 공정성 강화를 위해 특혜, 부정 선발 가능성을 차단하는 방법을 강화하고, 사교육 축소와 공교육 확대를 강조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초고난도 문항을 없앤다고 했고, 수시 비율이 높은 대학의 비율을 조정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국민의 힘 후보는 자율형 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의 2025년 일괄 폐지에 반대한다고 했다. 이재명 후보와 마찬가지로 수능 확대는 찬성했지만, 그 외의 학교자치법 등 관련 교육 정책에는 현재까지 다소 미적거리는 듯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서 더는 뭐라고 할만한 여지를 남겨 놓지 않았다. 그만큼 논란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두 후보의 교육 공약에 차별을 찾기 힘들지만, 다시 한번 더 후보들의 공약을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해 보려고 한다. 먼저 모두가 내세운 ‘공정성강화’의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면, 대체로 수능 강화 정책을 말하는데, 이는 전혀 수긍이 되지 않는다. 수능을 강화한다는 논리는 지방의 학생을 지방에 가둬두려고 하는 얘기라고 본다. 왜냐하면 어설픈 누구는 접근조차 하기 어려운 ‘불수능’을 만들어 놓고, 수능 비율을 높이겠다고 한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문제은행이나 자격고사화 등 다양한 방안 모색을 이야기했다. 심상정 후보의 공약에 누구나 선뜻 손이 갈 터인데, 이에 대해서 양당의 두 후보는 정책에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논의가 없어 매우 안타깝다. 기후 위기를 둘러싼 작금의 생태적 위기 관련 문제와 이를 극복해야 하는
우리의 생명 교육의 필요성, 끊임없이 전쟁을 조장하는 분위기 속의 한반도 평화교육, 코로나 19의 위기 속에서 더 공고화되는 지역 공동체 회복 관련 교육 등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를 말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미래 교육을 이야기해야 한다. 누가 선출이 된다고 해도 내 입장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이번의 대선은 마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의 불공정한 심판에 분노하는 사이에 지나가 버리는 해프닝일지도 모르겠다. 비록 투표권은 없지만,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있으면 좋았을텐데 많이 아쉽다.
이사빈 (청소년기자단 3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