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학부모신문

Home > 자료마당 > 학부모신문

상담실 QA | 286호 교사의 체벌로 벌어진 학부모의 교사 폭행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6-08-09 15:01 조회1,174회 댓글0건

본문


Q 초등학교 4학년 남자아이의 엄마다. 얼마 전 아이가 방과 후 담당 교사가 머리를 잡고 피구 공으로
얼굴을 때리며 엎드려뻗쳐를 시켰다며 대성통곡을하며 전화가 왔다. 아이는 “선생님이면 다야?”란 말
을 한 적이 없는데, 교사는 아이가 그 말을 했다면서체벌을 해 아이는 너무 억울하다는 것이었다. 난 남편과 의논했고, 남편이 그 방과 후 교사에게 전화해어떻게 된 일인지 물었더니, 우리 아이한테 다 듣지않았느냐면서 핀잔주듯이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찾아뵙고 말씀드리겠다고 하니 싸우러 오는 거냐고 퉁명스럽게 말해서 남편이 항의하러 학교에 갔다. 교장선생님과 함께 교실로 찾아갔는데, 훈육 차원의 폭행이었다는 말만 하고 부당한 체벌에 대한 사과의뜻을 전혀 비치지 않았으며 어떻게 할 거냐고 물었지만, 대답이 없었다. 잠시 생각할 시간을 드리려고밖으로 나왔다가 다시 들어갔는데, 대뜸 방과 후 교사가 터무니없이 당당하게 “내가 아이를 때린 것처럼
나를 때려라.”고 말해서 남편은 화를 참지 못하고 교사를 때려 전치 3주의 상처를 입혔다. 남편은 반성하고 매우 자책하며 교사에게 전화를 드려 사과의 뜻을 전했고 다음 날 학교에서 남편의 잘못에 대한 각서를 쓰라고 해서 각서도 쓰고 무릎까지 꿇고 잘못을 사과했다.
다음날 교사는 500만 원의 합의금을 요구했다. 우리는 그 정도의 금액을 지불할 의사도, 돈도 없다고 하니 교사는 그럼 얼마까지 준비되었냐고 물어왔다. 우리가 150만 원 정도가 준비되었다고 하니 그만큼만받겠다고 하고 우리 아이한테는 사과만 한다고 했다.난 그때야 우리 아이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아이가 받은 마음의 상처는 전혀 회복되지 않았는데, 일방적으로 교사의 치료비만 물어주는 게 잘못됐다는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런 내용을 가지고 익명으로 교육청과 상담을 했다. 교육청에서는 교사와의협의를 권했고 얼마 있다가 바로 교사한테 전화를받았다. 교사는 서로 어떤 민형사상의 책임은 묻지않되 150만원의 치료비로 합의하자는 합의서를 쓰
자고 했다. 난 교사가 우리 아이의 마음을 진심으로보듬어 주고 다시는 이런 일을 발생시키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으려고 한다. 교사에게 신뢰가 가지 않고,우리 아이에게 이런 불상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데 각서의 문안과 합의서의 내용에 어떤 것을 첨부하면 좋을까?
A 사실 확인도 없이 잘못 이루어진 교사의체벌에 상처받은 아이의 고통과 함께, 어이없
는 교사의 태도에 감정을 이기지 못하고 교사를 폭행하게 된 아버님께서 얼마나 자책감이
있으셨을지, 그 마음이 그대로 느껴져 매우 안타깝습니다. 또한 해결 과정에서 교사의 체벌
과 아버님의 폭행 사건은 두 사안으로 분리해서 대처해야 하는데, 마치 하나의 사건인 것처
럼 처리되고 있어서 아쉬움이 큽니다.사실 가장 상처받은 이는 부당하게 폭행당한
아이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가 발언하지도 않은 내용을 교사가 제대로 확인하지 않
고 폭력을 행사한 것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어야 하고 진심 어린 사과도 꼭 필요합니다. 학생
에 대한 교사 폭력도 학교폭력의 대상이 되니,학교폭력대책위원회를 열어 교사의 부당하고
폭력적인 체벌에 대한 적당한 조치와 조정이이뤄져야 합니다. 아이가 받은 상처가 아버님
의 폭행 사건에 묻히지 않아야 하며 아이의 치료와 회복에 교사는 최선을 다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와 별개로 아버님께서 교사를 폭행한 부분에 대해선 사과 및 금전적 보상에 대한
합의를 이뤄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또한 교사의 요구로 각서를 쓰셨다고 했는데각서는 법적 효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헌법에서 보장하는 양심의 자유를 훼손하는 인권침
해 사항입니다. 더구나 무릎까지 꿇으셨다니아버님의 억울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되지만,
각서 요구는 아버님 또한 비인권적 차별에 합류하겠다는 의미와 다를 바가 없어 보입니다.
그러니 합의서에 교사와 합의하게 될 항목을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차선책이 될 것입
니다. 합의금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진심 어린사과를 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등의
내용을 추가하여 기재하도록 하세요. 또한 합의서 작성 시 중립을 지킬 수 있는 분을 중재
자로 모셔 이 모든 과정을 함께 해 공정성이유지 되도록 이끌었으면 합니다.

 

 

 

 

*이 기사가 실린 학부모신문을 확인하려면 위 링크를 클릭하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