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학부모신문

Home > 자료마당 > 학부모신문

상담실 QA | 262호 전학 강요하는 자사고!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7-02-17 15:44 조회945회 댓글0건

본문

Q.
 고1인 우리 아들은 자율형사립고에 다니고 있 다. 지난 해 남편 사업이 부도나서 사회적배려대상자( 사배자) 전형으로 입학했다. 이 학교에 대한 평판이 괜 찮았고, 무엇보다 갑자기 어려워진 집안 형편을 생각 해 아들이 스스로 선택한 학교였다.

 그런데 착하고 온순하기만 했던 아이가 사춘기를 겪고 있는 것 같다. 흡연을 서너 번 해서 적발됐고 수 업 시간에 지각을 하거나 엎드려 있는 일이 있어 생활 지도부교사에게 불려가 각서를 쓰는 일이 있었다. 담 임에게 아이의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에 어려움은 없는 지 상담하고 싶다고 했으나, 교칙 위반 관련 사항은 생활지도부교사가 전담한다고 하여 도움을 받지 못했 다.

 인터넷으로 위센터를 알아내어 현재 우리 아이는 상담을 받으며 안정을 되찾고 있다. 물론 각서를 쓴 뒤로 흡연은 하지 않고 학교생활도 좋아졌다. 그런데 학교에선 아이가 흡연은 안 하지만 학교생활에 불성 실하다며 전학을 강요하고, 전학을 가지 않으면 자퇴 시키겠다고 한다.

 나는 교육청에 아이가 다닐 학교를 알아봤지만 여 의치 않고, 아이가 상담을 받으며 변하고 있으니 상담 끝날 때까지 만이라도 전학을 유예시켜 달라고 했는 데 생활지도교사는 무조건 전학을 가라고 한다.

 아이가 잘못을 시인하고 변화하고 있는데 반성할 시간을 주지 않는 학교가 너무 비교육적이라고 생각 한다. 사배자로 들어와서 멸시 받는 것은 아닌지 자괴 감이 들기도 한다. 자율고가 다 이런가?

A.
 자율형사립고는 엠비 정부 때 학교다양화 프로젝트로 생긴 학교형태로 시행조치부터 고 교서열화로 교육의 불평등을 초래한다는 비판 여론이 드셌습니다. 일반고의 3배나 많은 등록 금 등 귀족학교라는 비판에서도 자유롭지 않습 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배자 전형이 도입되었 지만 이들에 대한 배려는 많이 부족한 것 같습 니다. 특히 사배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더 섬세 한 배려가 필요한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 다.
 유기홍 민주통합당 의원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사고 사배자 전형자들의 전출이나 자 퇴 등의 중도탈락율이 전체 중도탈락자의 40% 나 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돌보 고 지켜봐야 하는 학교가 아이의 잘못만을 내 세워 징계하고, 더 나아가 전학을 강요하는 것 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또한 학교마다 징계나 벌점 기준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흡연과 지각이 강제전학과 자퇴의 사 유가 되는 것은 자율권의 남용으로 해석될 여지 가 있습니다.

 어머님께서 생활지도교사에게 그 간 아이의 변화와 학교생활에 대한 의지를 피력 하시고 아이의 성장을 위해 학교의 포용력 있는 도움이 절실함을 말씀하시며 선처를 부탁하시 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왜 그렇게 학교생활에 잘 적응 하기 힘들었는지 물어보셔서 만약 입시경쟁이 일반학교보다 더 치열한 자율형사립고의 분위 기 때문이었다면 교육환경을 바꿔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알 수 있을까?

아들 초등학교 땐 몰랐었지 
중학교 때 알거라고
중학교 땐 몰랐었지 
고등학교 때 알거라고 
고1 때는 몰랐었지 
고2 때는 알거라고
고등학교 와 보니 모르는 것 투성이 
마음잡아 하려니 모르는 것 투성이 
내 인생 왜 이런가 신세한탄 
중간고사 기말고사 1학기 지나고 
여름방학 3주 너무 짧아 
그렇게 시간은 가고 
무얼 위한 공부인가?
공부해서 대학가면 
예뻐진다 멋져진다 살 빠진다 
뻔한 거짓말에 기대어 공부한다 
아직도 모르는 것 투성이 
공부만 하면 하늘의 별도 
달도 태양도 가진다고
모든 것을 가진다고 하는데 정말일까?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진짜 이유 
알 수 있을까? 

 


배예성(선사고 2학년, 현미미 14기 정상담원 아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